반응형
Q. 지방공무원 건강건진시에 매년 공가 사용이 가능할까?
A. 그럴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다.
먼저, 공가사용의 근거를 살펴보자
지방공무원 복무규정 제7조의6(공가)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지방의회의 의장은 소속 공무원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할 때에는 직접적으로 필요한 기간 또는 시간을 공가로 허가해야 한다.
5. 「산업안전보건법」제129조부터 제131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건강진단, 「국민건강보험법」제52조에 따른 건강검진 또는 「결핵예방법」제11조제1항에 따른 결핵검진등을 받을 때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를 보자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건강검진) ① 공단은 가입자와 피부양자에 대하여 질병의 조기 발견과 그에 따른 요양급여를 하기 위하여 건강검진을 실시한다.
② 제1항에 따른 건강검진의 종류 및 대상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일반건강검진: 직장가입자, 세대주인 지역가입자, 20세 이상인 지역가입자 및 20세 이상인 피부양자
2. 암검진: 「암관리법」 제11조제2항에 따른 암의 종류별 검진주기와 연령 기준 등에 해당하는 사람
3. 영유아건강검진: 6세 미만의 가입자 및 피부양자
③ 제1항에 따른 건강검진의 검진항목은 성별, 연령 등의 특성 및 생애 주기에 맞게 설계되어야 한다.
④ 제1항에 따른 건강검진의 횟수ㆍ절차와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절차에 대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고 되어 있으니, 대통령령을 찾아보자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제25조(건강검진) ① 법 제52조에 따른 건강검진은 2년마다 1회 이상 실시하되, 사무직에 종사하지 않는 직장가입자에 대해서는 1년에 1회 실시한다. 다만, 암검진은 「암관리법 시행령」에서 정한 바에 따르며, 영유아건강검진은 영유아의 나이 등을 고려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바에 따라 검진주기와 검진횟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결론 사무직공무원은 2년에 1번 공가사용 가능하고
비사무직공무원은 1년에 1번 공가사용이 가능하다.
반응형
'슬기로운 직장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기업소상공인 확인서 입찰서 제출 [마감일?/마감전일?]까지 발급된 것 어느것이 정답일까 (0) | 2024.08.09 |
---|---|
품의 시 행정실장 협조 결재 꼭 해야 할까요? (0) | 2024.07.26 |
자판기 임대사업에 따른 부가가치세 신고 및 납부 (0) | 2024.07.22 |
공문서 협조 결재시 순서 (0) | 2024.07.17 |
학교회계 재무관, 출납원 겸직 불가=>교장부재시 행정실장 원인행위 결재 불가 (0) | 2024.07.15 |